반응형
1. 뜻 : 소비 연령, 즉 오래된 코인의 이동
2. 의미 : 세력의 움직임, 보통 매도 압력으로 해석
3. 기준
- 고점에서 터진 AC는 더 이상 올라가기 힘든 고점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
- 저점에서 터진 AC 또한 고래의 익절일 가능성이 큼 (오래된 코인이 가격이 조금 낮아졌다 해도 평단가가 낮기 때문에)
4. 한계
- 데이터 오류가 있을 수 있으니, CDD(Coin Days Destroye, 소비된 UXTO와 기간을 곱한 값)와 함께 확인 필요
- BTC, ETH 등 시총이 큰 코인들은 고래가 많으며 고래들끼리도 서로 치열하게 싸워 이익을 쟁취하므로, 시총이 가벼운 코인일수록 좋음
5. 보완 지표 : Tx PnL
- Tx PnL과 같이 높거나 낮을 때 더 강한 신빙성을 갖는다.
6. 활용법(예시)
1) 후반부로 AC가 높게 치솟은 구간이 많음 -> 세력의 엑싯일 가능성이 높음 *해당 코인의 토큰노믹스 참고 필요
2) 저점의 AC 치솟은 구간에서 Tx PnL 또한 높은 것을 확인 -> 단순 이동이 아니라 수익 실현까지 완벽히 마쳤다고 해석 가능 -> 즉, AC가 많은 구간에서 Tx PnL도 높게 잡힌다면 충분히 의심할 필요가 있음